본문 바로가기
평생공부/유기농업기능사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단기간 집중 암기 자료

by 골든 아워 2024. 5. 29.

※ 유기농업기능사 실기는 서술형 평가이기에 중요한 항목 위주로 암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출문제 분석 결과 필수 내용을 출력하여 반복적으로 보기 위하여 자료를 정리하였습니다.

★ 화성암은 (규소) 원료의 함량에 따라 산성암, 중성암, 염기성암으로 구분, 세부적인 표는 다음과 같다.

구분 산성암(65~75%) 중성암(55~65%) 염기성암(40~55%)
심성암 화강암 섬록암 반려암
반심성암 석영반암 섬록반암 휘록암
화산암 휘문암(유문암) 안산암 현무암
색(밀도) 밝음(저밀도)                                                                                  어두움(고밀도)
조암광물 함량 석영 - (정)장석 - 흑운모 - 각섬석 - 휘석 - 감람석

 

★ 토양의 생성인자 5가지

기후(기온, 강수량 등) -토양 발달에 가장 큰 영향력
-강우량, 온도, 공기의 상대습도 등
모재 -토양 밑에 있는 순수한 암석, 암반의 종류에 따라 토양이 다름
-토양의 근원은 암석. 즉 모암
지형 -토양이 형성되기 위한 지역의 침식, 강우량, 토양의 수분 보유량, 화산활동, 단층, 절리, 융기, 침강등과 같은 지각에 의해서 결정
시간(풍화기간) -풍화기간에 따라 미숙기-성숙기-노령기로 나뉨
-토양의 형성 과정은 매우 천천히 진행. 수천년에서 수백만년 필요
식생(생물의 작용) -동식물에 의한 여러 가지 물리적, 화학적인 것 포함
-식물 자체가 모재의 영향. 물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영향

 

★  토양의 생성과정 종류

  장소 특징
포드졸화 작용 한랭습윤지대의 침엽수림, 논의 노후화답 -용탈층, 집적층 백색의 표백화, 회백색
-철과 알루미늄이 용탈작용으로 흙이 회백색으로 되는 현상
라토졸화 작용 열대우림기후, 사바나기후, 아열대습윤기후 등의 고온다습한 기후 -고온다습한 환경
-염기성 무기성분 다량 함유
글레이화 작용 냉량 또는 한랭습윤기후지역, 지하수위가 높은 저습지, 배수가 불량한 곳 -환원상태
염류화 작용 건조지역 -염류토양에 나트륨 첨가
-알칼리흑토(=알칼리화)
석회화 작용 반건조지역 -탄산칼슘
점토화 작용 온난습윤,활엽낙엽 수립 -풍화된 규산, 알루미나 함량 많은 점토광물
부식 작용 저지대,물속 -유기물 분해 늦기 때문에 부식 집

 

★ 토양 무기물 입자의 입경조성에 따른 토양의 분류표

명칭 입자크기
(자갈) 2.0mm이상
모래 0.02~2.00mm  / 조사(굵은 모래) 2.0~0.2mm, 세사(가는 모래) 0.20~0.02mm
미사 0.002~0.02mm
점토 (0.002mm)이하

 

★ 점토 함량에 따른 토양의 분류표

토성의 종류 점토 함량 특징
(사토) 12.5%이하 모래비율 많음
사양토 12.5~25.0% 사토-양토 중간성질
양토 (25.0~37.5%) 식물에 가장 많이 이용
식양토 37.5~50.0% 식토-양토 중간 성질
식토 50.0%이상 점토비율 많음

 

★ 공극률 = {(입자밀도-용적밀도)/입자밀도} X 100   예) (2.6-1.5)/2.6 X 100 = 42.3%

공극율을 계산할 때 용어가 다양함

 

★ 토성 삼각도표

토성삼각도표 (미국 농무성法)

 

     가. 미사 30%, 모래 50% 일 때의 토성은? (양토)

     나. 모래 40%, 미사 30%, 점토 30% 일 때의 토성은? (식양토)

 

★ 유기물 중의 탄소와 질소 함량비

C/N율 특징
30이상 토양질소의 미생물 이용이 유기물의 무기화보다 크기 때문에 질소기아현상이 발생한다.
15~30 미생물이동과 유기물 무기화가 같아서 질소를 잘 흡수한다.
15이하  유기물 무기화가 미생물의 이동보다 커진다. 유기물이 빨리 부식된다.

 

★ 질소기아현상

질소기아현상 (窒素飢餓現象 nitrogen starvation) : 
토양 속에 질소성분이 적은데 탄질비가 높은 유기물을 시용하면 토양 속에 있는 미생물이 질소 부족현상을 보여 질소비료를 시비하는 데도 질소가 부족하여 식물이 질소를 흡수할 수 없는 것

 

★ 유기물의 C/N율

 톱밥 > 볏짚 > 미숙퇴비 > 발효우

 

논에 대한 설명

노후화답(추락답) - 여러 해 동안 벼농사를 계속하여서 수용성 무기 염류가 부족해진 논. 논은 담수 후에 산화층과 환원층으로 분화되면서 땅에 있는 철분, 망간 따위의 수용성 무기 염류가 용탈 한다.
 
 사력질답 - 누수가 심하므로 '누수답'이라고도 함. 투수가 심하여 수온, 지온이 낮고, 한해(가뭄으로 인하여 입은 재해)를 입기 쉬우며, 양분의 함량이 낮아서 토양이 척박함. 우량한 점토를 객토하고, 유기물 시용을 늘려 토성 개량을 꾀한다.

 퇴화염토답 - 제염이 진전된 염류토로서, 투수성과 투기성이 나쁨. 규산, 철 등의 무기성분이 용탈 되었기 때문에 습답이나 노후답에 준한 개량이 필요

 중점토답 - 중점토(너무 차져 농사짓기에 알맞지 않은 땅)로 된 논은 토양구조가 나빠서 젖으면 끈기가 많고, 마르면 단단해서 경운이 힘들고, 천경(논밭을 얕게 갊)이 되기 쉬움. 작토 바로 밑에 점토의 경반이 형성되어 배수가 불량할 경우가 많음. 중점토답을 개량 하려면 심경(땅을 깊이 가는 일)과 배수를 꾀하고, 규산질 비료와 퇴비철을 시용하며, 유기물과 토양개량제를 시용하여 입단의 형성을 도모함. 답전윤환, 추경, 이랑재배 등도 효과

습답 - 지하수위가 높고, 1년 중 건조하지 않으며, 침투되는 수분의 양이 적어서 유기물 분해도 적다.

※ 논 저위생산지의 종류(저위생산지-농작물의 생산량이 그 지역의 평균 수확량보다 적은 지역, 또는 토양을 개량한다면 현재의 생산량보다 더 많은 생산이 가능한 지역)
표 출처: 나합격 유기농업기능사 유투브(꽃수정의 농업공부)

 가. Fe, Mg, Ca 등이 작토에서 용탈 되어 결핍된 논토양을 (노후화답/습답)이라고 한다.

 나. 누수와 투수가 심하고 수온과 지온이 낮다. 한해를 입기 쉬우며 양분의 함량이 적어 보비력이 낮아서 토양이 척박한 논토양을 (퇴화염토답/중점토답/사력질답)이라고 한다.

 

 퇴비에서 중요한 6가지 인자

1. 탄질비(20~30) 2. pH(6.5~8.0) 3. 통기성 4. 입자의 크기 5. 수분 함량(60~70%) 6. 온도(45~65℃)

 

병해충의 방제방법

분류 방법
법적 방제법 - 국제검역, 국내검역에 관한 식물방제법과 방제에 관련 법령
- 농산물의 수입 이전의 재배지에서의 검사
재배적 방제법
(경종적 방제법)
- 환경 조절이나 재배기술을 도입하여 병해를 방제하는 것
- 내병성 품종의 선택(저항성), 적절한 환경 조절, 합리적 시비, 윤작, 답전윤환, 잡초와 이병주 제거, 접목재배, 무병종묘이용, 차단
기계적 방법
(물리적 방법)
- 뽑기, 예취기(예초기)사용, 김매기, 소각, 소토, 차단, 비닐 피복, 봉지 씌우기, 방충막 설치, 알 채취, 밭 토양 담수, 비가림 재배, 온탕 처리, 태양열 소독, 화염 소독, 증기 소독
생물적 방법 - 천적, 길항 미생물 등을 이용해서 병을 방지하는 것
- 미생물농약, 천적곤충 미생물, 잡초섭식동물, 미생물 제초제, 척추동물, 거미, 선충
- 뱅커 플랜트(유지 식물)
화학적 방제법 (농약) - 천연물질(제충국), 보드로액, 유황훈중, 살충비누, 오일류(난황)
- 농약의 조건
  >소량으로 확실한 약호와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야 한다.
  >농작물에 대한 약해가 없어야 한다. 변질되지 않아야 한다.
  > 사용법이 간단해야 한다. 농약값이 저렴해야 한다.
종합적 방제법 - 재배적, 물리적, 생물적, 화학적인 방법을 경제적 피해 수준 이하로 종합적으로 방제하는 방법
- IPM(Inetgrated pest management)

 

해충과 천적

해충 전용 천적 해충 전용 천적
진딧물 무당벌레, 기생벌, 품잠자리, 콜레마니진디벌, 진디혹파리 응애류 칠레이리응애, 꼬마무당벌레, 캘리포니쿠스이리응애
총채벌레 오리이리응애, 애꽃노린재, 이리응애 일종 온실가루이 온실가루이좀벌
잎굴파리 잎굴파리좀벌, 굴파리좀벌 가루깍지 벌레 무당벌레, 기생벌일종
나방류 알좀벌,명충알벌    

 

친환경유기농업의 4가지 원칙

 - 생태의 원칙  - 공정의 원칙  - 배려의 원칙  - 건강의 원칙

 

★ 굴광현상(굴광성)

굴광현상(굴광성) - 식물이 빛의 방향에 반응하여 굴곡 반응을 나타내는 것
* 굴광성에는 청색광(440nm~480nm)이 가장 효과적이다.
* 식물이 빛의 자극이 있는 방향으로 굽어 자라는데, '옥신'호르몬이 영향을 준다.
* 옥신은 빛에 민감하며, 빛이 비치는 반대 방향으로 호르몬이 이동한다.
* 식물의 줄기와 잎은 빛 쪽으로 향하는 양성굴광성(향광성)이고, 뿌리는 빛의 반대로 자라는 음성굴광성(배광성)이다.

 

★ 친환경농축산물의 4종류 및 기준

유기농산물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일절 사용하지 않고 재배(전환기간: 다년생 작물은 최초 수확 전 3년, 그 외 작물은 파종 재식 전 2년)
유기축산물 유기축산물은 유기농산물의 재배. 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된 [유기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무농약농산물 유기합성농약을 일절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권장 시비량의 1/3 이내 사용
무항생제축산물 항생제, 합성항균제, 호르몬제가 첨가되지 않은 [일반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 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

 

★ CA저장과 MA저장

* CA저장 - 저온저장고안의 가스조성을 조절해 저장하는 방법. CA시설에는 냉각장치, 질소발생기, 에틸렌 흡착제거 장치, CO2흡착제거장치 등이 필요하므로 설치 및 관리유지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음
.* MA저장 - 포장 내 이산화탄소는 증가시키고 산소는 감소시키며 내부 습도 또한 높여져 증산을 억제시켜 주는 저장법.

 

★ 냉수온탕침법

* 냉수온탕침법 - 소금물 가리기를 한 볍씨를 15도 정도의 냉수에서 1~2시간 동안 담근 후 58도의 온탕에 15분간 담가 소독하는 방법

 

★ 전환기간

- 유기축산물을 생산, 판매하려는 경우에 전환기간 이상을 기준에 따라 사육하여야 함.

- 전환기간은 인증기관의 감독이 시작된 시점부터 인정됨. 객관적인 자료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규정 전환기간의 2/3 범위 내에서 유기 사육기간으로 인정할 수 있음.

축종 생산물 최소 사육기간
한우. 육우 식육 / 송아지식육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12개월) / 6개월령 미만의 송아지 입식 후 6개월
젖소 시유 착유우는 90일, 새끼를 낳지 않은 암소는 6개월
산양 식육 / 시유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5개월) / 착유양은 90일, 새끼를 낳지 않은 암양은 6개월
돼지 식육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5개월)
육계 식육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3주)
산란계 입식 후 3개월
오리 식육 / 알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6주) / 입식 후 3개월
메추리 입식 후 3개월
사슴 식육 / 녹용 입식 후 출하 시까지(최소 12개월) / 녹용 성장기간 4개월

 

★ 법적 감염병

  제1종 제2종 제3종
우역, 우폐역, 구제역, 가성우역, 블루텅병, 리프트계곡열, 럼프스킨병 탄저, 브루셀라병, 결핵병, 요네병, 소해면상뇌증 소감염성기관염
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돼지열병, 돼지수포병 돼지오제스키병, 돼지일본뇌염, 돼지텟센병 돼지유행성설사
양, 산양 양두 스크래피  
사슴   사슴만성소모성질병  
아프리카마역 말전염성빈혈, 구역  
뉴캐슬병,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가금콜레라 닭마이크로플라즈마병,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
오리   오리바이러스성간염  

 

★ 주요 병 정보

  특징소해
구제역 소, 돼지, 양, 염소 및 사슴 등 발이 둘로 갈라진 동물(우제류)에 감염되는 질병이며 입술, 혀 등에 물집(수포)이 생기며,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고 식욕이 저하되는 질병. 발병 후 24시간 이내에 침을 심하게 흘림.
아프리카 돼지열병
(ASF)
돼지들이 한데 겹쳐있고, 급사하거나 비틀어지는 증상
호흡곤란, 침울증상, 식욕감소, 복부와 피부말단부위에 충혈 소견
소해면상뇌증(BSE) 소에 발생하는 만성 신경성 질병 '일명 광우병 또는 프리온 질병' 비정상적인 변형 단백질인 프리온에 의해 발병되는 것으로 뇌에 구멍이 생긴다.
조류인플루엔자(AI)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조류의 급성 전염병. 급성의 호흡기 증상을 보이면서 100%에 가까운 폐사를 나타낸다. 자연생태계의 야생조류에 다양한 종류의 바이러스가 분포.

 

★ 경축순환농법

- 친환경농업을 실천하는 자가 경종과 축산을 겸업하면서 부산물을 작물 재배 및 가축사육에 활용하고, 경종작물의 퇴비소요량에 맞게 사육 마릿수를 유지하는 형태의 농법.

 

★ 조사료, 단미사료

- 조사료 - 초식가축의 기본사료. 볏짚, 조짚, 콩깍지, 고구마넝쿨, 아카시아잎, 무잎, 배춧잎, 해초류, 사일리지, 건초 등

 조섬유 함량이 (10)%이상이고, 거칠며 값이 싼 사료

- 단미사료 - 식물성.동물성 또는 광물성 물질로서 사료로 직접 사용되거나 배합사료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것.

 

* 사료 분류

구분 설명
조사료(풀) - 부피가 크고 사료가 거칠며 저렴하다.
- 조섬유 10% 이상인 사료
- 가소화성분이 작다.
볏짚, 건초, 생초, 사일리지, 청초
농후 사료 - 부피가 작고 조섬유 함유가 적은 것
- 단백질 배합사료
- 영양소 함량이 높은 것
곡류(밀, 보리, 수수, 옥수수) 밀기울, 대두박, 깻묵, 어분, 배합사료
보충사료(과학사료) - 소량으로 필수영양소 충적
- 전체 배합사료의 10% 이내
소금, 골분, 항생물질, 비타민, 호르몬제

 

* 성분에 따른 분류

구분 설명
전분질사료 전분 각종 곡물
단백질사료 단백질 20% 이상 어분, 박류
지방질사료 지방질함량 15% 이상 생미강
섬유질사료 조성유함량 20% 이상 볏짚, 야건초

 

* 배합에 따른 분류

구분 설명
단미사료 배합사료에 혼합되는 각각의 원료 사료
배합사료 여러 원료 사료가 배합되어 가축의 영양소에 맞게 혼합된 사료

 

 

★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

- 사료의 에너지함량을 나타내는 단위. 유기물로서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소화 이용될 수 있는 양을 총합한 것

- 한우 비육우 배합사료 중 TDN은 69~74% 정도. 배합사료 중 TDN 함량은 1일 동안 필요로 하는 사료섭취가능량 등 고려

- TDN= 가소화 조단백질 + 가소화 탄수화물 + 가소화 조지방 X 2.25 + rkthghk whtjadb

 

  볏짚 라이그라스 호밀 옥수수 귀리 유채
TDN 43.6 61.4 57.7 62.0 65 77.6

 

★ 유기 작부체계

* 돌려짓기 - 한 경작지에 여러 가지의 다른 농작물을 돌려가며 재배하는 경작법. 윤작.
* 혼작 - 생장기간이 거의 같은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땅에 재배하는 농법. 섞어짓기.
* 간작 - 한 종류의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이랑 또는 포기 사이에다 한정된 기간 다른 작물을 심는 농법. 사이짓기.
* 교호작 -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일정한 이랑씩 교호 배열하여 재배하는 방식
* 주위작 - 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의 작물과는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
* 답전윤환 - 포장을 논상태와 밭상태로 몇 해씩 돌려가면서 벼와 밭작물을 재배하는 형식.

 

* 연작(이어짓기)의 영향

구분 작물
연작피해가 적은 작물 , 맥류, 조, 수수, 옥수수, 연근, 순무, 부추, 딸기, 고구마, 삼, 담배, 무, 당근, 양파, 마늘, 호박, 미나리, 양배추, 머위, 근대 등
1년 쉬어야 하는 작물 생강, 파, 쪽파, 시금치, 콩, 갓, 생강 등
2년 쉬어야 하는 작물 감자, 오이, 땅콩, 셀러리, 마, 잠두
3년 쉬어야 하는 작물 토란, 쑥갓, 강낭콩, 토마토, 고추, 피망, 참외, 멜론, 콜리플라워, 아스파라거스 등
5~7년 쉬어야 하는 작물 수박, 가지, 완두콩, 배추, 우엉, 고추, 토마토, 사탕무 등
10년 이상 쉬어야 하는 작물 인삼, 아마 등

 

★ 돌려짓기를 하면 토양비옥도가 유지, 증가되는 이유

- 콩과작물에 의한 질소고정으로 토양 내에 질소가 증가
- 다비작물(비료를 많이 요구하는 식물)에 의해 잔비효과가 나타남. 
- 피복작물(과수 사이 또는 계절적 작물 사이에 재배되는 작물)에 의한 토양 물리성이 개선됨.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