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유기농업기사협회에서 제공하는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요약 정리했습니다.
Ⅲ. 유기가공식품 이해하기
1. 유기가공식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을 쓰시오.
[유기식품 관련 규정에 적합하고 최종제품에 남아 있는 원재료의 ( 70 )% 이상 ( 95 )% 미만으로 유기농산물인 경우에는 용기 포장 주표시면을 제외한 표시면에 ( 유기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를 표시할 수 있다.
2. 유기식품의 인증기준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을 쓰시오.
[유기식품인증의 유효기간은 인증을 받은 날부터 ( 1 )년으로 하며 인증갱신 및 인증품 유효기간을 연장받으려는 자는 품질관리원장 또는 인증기관의 장에게 해당 인증 유효기간이 끝나는 날의 ( 30 ) 일 전까지 인증신청서 및 관련서류를 첨부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3. 유기식품의 가공원료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을 쓰시오.
* 유기가공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 ( 식품첨가물 ), 가공보조제 등은 모두 유기적으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 원료 또는 제품 및 시제품에 대한 검정결과 ( 유전자변형생물체 ) 성분이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4. 유기가공식품 가공 시 생물학적 방법을 2가지 쓰시오.
- 발효, 숙성
5. 수확 후 관리방법으로 유기농산물 세척 또는 소독에 사용 가능한 허용물질을 고르시오.(가공보조제)
[과산화수소, 글리세린, 오존수, 젤라틴, 이산화염소수, 차아염소산수, 카제인]
- 과산화수소, 오존수, 이산화염소수, 차아염소산수
6. 유기가공식품 제조 시 식품첨가물로 사용 가능한 것을 고르시오.
[비타민C, 규조토, 구연산칼슘, 퀼라야 추출물, 밀납, 수산화칼륨, 염화칼륨]
- 비타민C, 구연산칼슘, 염화칼륨
7. 유기가공식품 제조 시 응고제로 사용하는 것을 고르시오.
[벤토나이트,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조재해수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 조재해수염화마그네슘, 황산칼슘
8. 다음은 유기식품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을 동그라미 하시오.
[유기식품은 (유기농축산물/유기식품)과 (유기가공식품/비식용유기가공식품)을 말한다.]
9. 유기가공식품의 추출을 위해 사용이 가능한 것을 고르시오.
[질소, 황산, 물, 식초, 펙틴, 카나우바왁스]
- 질소, 물, 식초
Ⅳ. 유기 작부체계를 계획하기
1. 유기농산물 재배를 위한 작부체계의 종류를 3가지 쓰시오.
- 돌려짓기, 혼작, 간작, 교호작, 주위작, 답전윤환, 자유작
* 돌려짓기 - 한 경작지에 여러 가지의 다른 농작물을 돌려가며 재배하는 경작법. 윤작.
* 혼작 - 생장기간이 거의 같은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땅에 재배하는 농법. 섞어짓기.
* 간작 - 한 종류의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이랑 또는 포기 사이에다 한정된 기간 다른 작물을 심는 농법. 사이짓기.
* 교호작 - 두 종류 이상의 작물을 일정한 이랑씩 교호 배열하여 재배하는 방식
* 주위작 - 포장의 주위에 포장 내의 작물과는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
* 답전윤환 - 포장을 논상태와 밭상태로 몇 해씩 돌려가면서 벼와 밭작물을 재배하는 형식.
2. 돌려짓기의 효과를 3가지 쓰시오.
- 토양의 양분 공급 및 지력 증진
- 병충해 및 잡초의 경감
- 작물의 수량 증대
3. 연작에 대한 피해와 대책을 각각 1가지씩 쓰시오.
- 피해 : 토양 병해충의 번성, 잡초의 번성, 작물의 비료성분 소모
- 대책 : 돌려짓기, 토양소독, 객토 및 환토
4. 지속적으로 연작을 할 때 작물의 생육이 뚜렷하게 나빠지는 현상을 쓰고, 그 대책을 2가지 쓰시오.
- 현상 : 기지현상, - 대책 : 돌려짓기, 담수
* 기지현상(연작장해) - 밭작물을 이어짓기(연작)하는 경우에 작물의 생육이 뚜렷하게 나빠지는 현상. 예) 인삼
5. 연작의 피해가 적은 작물과 심한 작물을 각각 고르시오.
[벼, 인삼, 고구마, 호박, 아마, 수박]
가. 연작의 피해가 적은 작물 : 벼, 고구마, 호박
나. 연작의 피해가 심한 작물 : 아마, 인삼, 수박
* 연작(이어짓기)의 영향
구분 | 작물 |
연작피해가 적은 작물 | 벼, 맥류, 조, 수수, 옥수수, 연근, 순무, 부추, 딸기, 고구마, 삼, 담배, 무, 당근, 양파, 마늘, 호박, 미나리, 양배추, 머위, 근대 등 |
1년 쉬어야 하는 작물 | 생강, 파, 쪽파, 시금치, 콩, 갓, 생강 등 |
2년 쉬어야 하는 작물 | 감자, 오이, 땅콩, 셀러리, 마, 잠두 |
3년 쉬어야 하는 작물 | 토란, 쑥갓, 강낭콩, 토마토, 고추, 피망, 참외, 멜론, 콜리플라워, 아스파라거스 등 |
5~7년 쉬어야 하는 작물 | 수박, 가지, 완두콩, 배추, 우엉, 고추, 토마토, 사탕무 등 |
10년 이상 쉬어야 하는 작물 | 인삼, 아마 등 |
6. 다음 돌려짓기의 작물 재배체계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식량작물, 콩과작물, 피복작물, 여름작물, 휴한작물, 녹비작물]
가. 용도의 균형을 위해 ( 식량작물 )과 사료작물 생산을 번갈아 가며 재배
나. 지력유지를 위해 ( 콩과작물 )이나 다비작물이 포함된다.
다. 잡초 경감을 위해 중경작물이나 ( 피복작물 )을 포함한다.
라. 토지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 ( 여름작물 )과 겨울작물을 결합한다.
7. 다음은 돌려짓기에 의한 토양비옥도가 유지 및 증가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식량작물, 콩과작물, 피복작물, 심근성작물, 여름작물, 휴한작물, 다비작물]
가. ( 콩과작물 )에 의한 질소고정으로 토양 내에 질소가 증가한다.
나. ( 다비작물 )에 의해서 잔비효과가 나타난다.
다. ( 피복작물 )에 의한 토양 물리성이 개선된다.
* 콩과식물은 공기 중의 질소를 식물체가 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뿌리 내에서 고정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 재배 후에는 토양이 비옥해 짐. 콩과 식물과 다른 작물을 교대로 재배하는 것이 수천 년 동안 전 세계에서 이어온 재배 관행.
* 다비작물은 비료를 많이 요구하는 식물. 비료를 많이 주고 순무를 수확하더라도 남은 비료성분 많은걸 '잔비량이 많다'라고 표현함.
* 피복작물 - 토양을 비료의 유출 및 침식으로부터 막기 위하여 과수 사이 또는 계절적 작물 사이에 재배되는 작물.
8. 혼작과 혼파의 장점과 단점을 각각 1개씩 쓰시오.
- 장점 : 토양과 기상에 대한 적응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각종 위험성을 분산시킬 수 있다. 작물의 생리적 생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보완할 수 있다.
- 단점 : 기계화 관리 작업이 불편하다. 생육장해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양분끼리 경합될 수 있다.
* 혼작 - 생장기간이 거의 같은 두 가지 이상의 작물을 동시에 같은 땅에 재배하는 농법. 섞어짓기.
* 혼파 - 두 종류 이상의 작물 종자를 함께 섞어서 뿌리는 방식
9. 답전윤환 재배의 정의와 장점을 각각 1가지씩 설명하시오.
- 정의 : 논 또는 밭을 논 상태와 밭 상태로 몇 해씩 돌려가면서 벼와 밭작물을 재배하는 방식
- 장점 : 토양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한다. 기지현상을 감소시킨다. 병충해를 방지한다.
10. 답전윤환의 효과를 2가지 쓰시오.
- 지력 유지 증진, 잡초 발생 억제, 토양 보호, 작물 수량 증가
11. 작부차계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간작, 혼작, 주위작, 답전윤환, 연작]
가. 생육시기를 달리하거나 일정기간 겹쳐지는 작물을 이용한다. 전-후작 관계가 뚜렷하다.
나. 생육시기가 같거나, 비슷한 작물을 이용한다. 전-후작 관계가 뚜렷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 간작, 혼작
12. 다음에서 해당되는 작물을 쓰시오.
가. 보리, 콩으로 맥 간작을 할 때 주작물과 부작물을 쓰시오.
- 주작물 : 보리, 부작물 : 콩
나. 여름에 수확하고 난혼작이 가능한 사료작물을 2가지 쓰시오.
- 헤어리베치, 보리
'평생공부 > 유기농업기능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공부] 필답형 기출문제 풀이(2023년 2회) (0) | 2024.05.23 |
---|---|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공부] 친환경농어업 육성 및 유기식품 등의 관리.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1]허용물질 (제3조제1항 관련) (0) | 2024.05.22 |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공부] #5. 유기농업생산 - (2) 유기축산 이해하기 (0) | 2024.05.18 |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공부] #5. 유기농업생산 - (1) 유기경종 이해하기 (0) | 2024.05.17 |
[유기농업기능사 실기 공부] #4. 유기작물의 재배 - 품질유지하기, 선별 포장하기 (0) | 2024.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