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일 1생각

인바디 검사로 건강관리를.. (feat: 몸짱 프로젝트)

by 골든 아워 2023. 8. 6.

체중과 복부비만에 대한 단상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였다.

오랜만에 검사한 인바디 결과가 '과체중'에 '복부비만'이라니 ㅠ.ㅠ

주 2~3회는 아침에 헬스장에 50분가량을 운동을 하는데.. 역시 식습관이 문제인 건가?

근력운동을 꾸준히 하기에 골격근량은 적당한데, BMI(24.4)와 복부지방률(0.84)이 다소 높게 나왔다.

적정체중은 80.7kg.. 현재 몸무게에서 2.7kg 감량. 목표는 80kg으로 하고, 대신 체지방량을 낮추기로 다짐을 한다.

매달 한 번씩은 인바디 검사를 하면서, 그 결과를 정리하며 마인드셋을 하리라..

인바디의 검사 원리

  발판과 손잡이를 통해 사람 몸에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낸다. 이때 저항값이 나타나는데, 이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해서 체성분의 비중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수분이 많은 근육은 저항값이 낮아 전기가 잘 흐르지만, 수분이 적은 지방은 저항값이 높아 전기가 잘 흐르지 못한다. 인체의 수분, 단백질, 지방 등 측정 대상에 따라 주파수를 바꿔 나타나는 저항값을 확인하는 식으로 체성분을 측정한다.  기기가 음식물을 근육이나 체지방으로 오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측정할 때는 공복 상태가 좋다.

인바디 검사 결과 해석

체성분 분석(Body Composition Analysis)

  1) 체수분 -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물. 세포 안에 있는 세포 내수분인지 세포 밖에 있는 세포 외수분인지 확인하여 부종지수를 구한다. 

  2) 단백질 - 근육,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 내 고형질의 총량을 나타냄. 세포 내 수분과 밀접하게 관련 있으며, 단백질의 부족은 세포 내 수분의 부족을 의미하므로, 이는 세포의 영양상태가 나쁨을 의미하기도 함. 

  3) 무기질 - 뼈에 있는 칼슘, 인을 포함한 무기질의 함량. 일반적으로 근육량이 많으면 높게 나오는 경향. 무기질 중 80%가 뼈에 있으므로 근육이 많을수록 뼈의 무게도 증가하고 무기질 양도 높음. 

  4) 체지방량 - 지질의 총량이 4가지를 합하면 체중이 된다. 건강을 위해 4가지의 균형이 중요하겠다.

골격근. 지방 분석(Muscle-Fat Analysis)

  1) 골격근량의 표준 범위는 90~110%

  2) 체지방량은 순수 지방의 무게(kg)

 골격근량의 그래프 길이가 체지방량의 그래프 길이보다 길면 건강한 몸상태를 의미 

 

비만 분석(Obesity Analysis)

  1) BMI(Body Max Index) - 신체 질량지수.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 23부터 과체중, 25부터 중등도 비만, 30 이상 고도 비만.

  2) 체지방률 - 체중에서 차지하는 체지방을 %로 나타냄.

(남성과 여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도 판정)

구분 표준 범위 비만 고도비만
남성 10~20% 20~25% 25%이상
여성 18~28% 28~33% 33%이상

 

 

 부위별 근육 분석(Segmental Lean Analysis)

 - 신체 각 부위의 근육량을 분석. 그림으로 심장에 비수를 꽂는다.. ㅠ.ㅠ (기계마다 조금씩 다른 듯)

 

인바디 점수(Inbody Score)

 - 체성분 종합점수. 근육이 매우 많은 경우 100점을 넘을 수 있다고 함. 통상 90점 이상은 강인형, 70점~90점은 건강형, 70점 이하는 허약형 또는 비만형.

체중조절

 - 적정 체중은 키와 적적 근육량, 체지방량을 고려한 체중을 의미. 즉, 같은 키와 몸무게를 가지고 있더라도 체중조절량은 다를 수 있음.

 

복부지방률

 - 허리둘레/엉덩이 둘레. (남성은 0.80~0.90, 여성은 0.75~0.85가 표준 범위)

 

내장지방 레벨

- 5 이하: 피하형 / 5~9 : 균형형 / 9~11 : 경계형 / 16 이상: 내장지방 고도형

 

기초대사량

- 심장박동, 체온조절, 호흡 등 신체 기능과 항상성 유지에 쓰이는 에너지의 양.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을 뜻함.

 

비만도

- 이상적인 체중에 대한 현재 체중의 비율로 키와 체중만을 이용해서 측정함.

90~110%: 표준 / 110~120%: 과체중 / 120% 이상: 비만

 

임피던스

- 오류를 판정. 주파수가 커질수록 각 항목 값은 줄어들어야 정상이며 좌우 편차도 20 넘게 나오면 오류가 있어서 재 측정해야 함.

 

목표: 비만도 110% 아래로, 체중은 81kg으로 감량 도전!!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