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일기/독서일기

[리더의 조건] 20th '배우려는 자세' by 존 맥스웰(비즈니스북스)

by 골든 아워 2023. 7. 10.

배우려는 자세

계속 이끌고 싶다면 계속 배워야 한다

 

말하는 것보다 듣고 책 읽는 것에 10배 정도 가치를 부여하라. 자신이 계속해서 배우고 발전하는 과정에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될 것이다. - 제럴드 맥기니스
중요한 모든 것을 알게 된 후에야 배우려는 자세를 익히게 된다. - 존 우든

찰리 채플린 - 출처: 나무위키

  지팡이와 큰 주머니가 달린 헐렁한 바지, 다 낡아빠진 커다란 신발과 중절모, 가늘고 기다란 콧수염.. 1910~1920년대 지구상에서 가장 유명했던 사람. 영국 뮤직홀 연주가 부부의 아들로 가난에서 자란 찰리 채플린. 어린 시절부터 거리를 배회하며 무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열일곱 살에 이미 베테랑 연기자가 된 그는 1914년, 20대 중반에 주급 150달러를 받고 할리우드에서 일하게 된다. 얼마 있지 않아 재능을 인정받게 되었고, 1년 만에 주당 1,250달러를 벌게 되었다. 1918년에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유례가 없었던 100만 달러 수준의 계약을 맺는다.

 

  채플린이 성공한 것은 엄청난 재능과 놀라운 추진력 때문이었겠지만, 결국 배우려는 자세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그는 계속해서 성장하고 배웠다. 결코 현 상황에 만족하지 않았다. 배우로, 감독으로, 영화 제작자로 끊임없이 배워나갔다. 영화 제작자들이 스튜디오와 배급자들에게 꼼짝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게 되자, 더글라스 페어뱅스, 매리 픽포드, 그리피스와 함께 유나이티드 아티스츠라는 조직을 발족하기까지 이른다.

성장은 자신이 누구인지를 결정한다.
자신이 누구인지는 자신의 주위에 몰려드는 사람들을 결정한다.
자신의 주위에 몰려드는 사람들은 자신이 이끄는 조직의 성공을 결정한다.

배우려는 자세를 견지할 수 있는 지침들

1. 성장에 끝은 없다

  - 어떤 사람들은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고 나면 더 이상 성장할 필요가 없다고 여기는 잘못된 신조를 갖고 있다. 하지만 성장을 멈추는 날은 곧 자신의 잠재력과 조직의 잠재력을 상실하는 것과 같다는 것을 잊지 말자.

 

초록빛을 띠고 있는 한 우리는 계속해서 성장한다
하지만 여무는 순간 곧 썩기 시작한다
- 레이 크록

 

2. 자신의 성공을 뛰어넘는다

  - 유능한 리더는 현재 자신을 이곳까지 오게 한 것이 자신을 계속해서 이곳에 머물게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과거부터 계속 성공해 왔다면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 

 

만일 어제 한 일이 계속해서 커 보인다면 오늘 많은 일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3. 손쉬운 방법을 끊는다.

  - 인생에 있어서 가치 있는 모든 것은 제값을 치러야만 한다. 특정한 분야에서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정말로 요구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두 지점 사이의 가장 긴 거리가 곧 지름길이다

 

4. 자만심을 버린다

  - 누구나 계속해서 배우려 한다면 실수를 계속해서 저지를 수밖에 없다. 성장을 원한다면 자만심을 버리자.

 

당신이 얻는 모든 것 때문에 당신은 무엇인가를 잃게 된다
- 에머슨

 

5. 똑같은 실수로 값을 두 번 치르지 않는다

  - 똑같은 실수를 되풀이하는 리더는 진보할 수 없다. 실수는 잊어버리되 실수가 가르쳐 준 것은 언제나 기억하자. 그렇지 않으면 다시 한번 똑같은 실수로 값을 치르게 될 것이다.

 

 나의 삶은 어떠한가? 매일, 매달, 매년 더 나아지고 있는가? 아니면 단지 현재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가? 최근에 무엇인가 새롭게 시도한 적이 있는가? 익숙하지 않은 일에 뛰어들어 자신을 상처받기 쉽도록 노출시킨 적은 언제였는가? 앞으로 성장과 배움에 대한 태도를 주지하며 내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확인하자.

 

배우려는 자세를 위한 실천

1. 실수에 대한 반응을 체크하자

  - 실수를 인정하는가? 실수를 인정했을 때 사과 혹은 변명을 하는가? 만일 자신이 실수에 대해 민감한 반응을 하거나 한 번도 실수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면 무엇보다 배우려는 자세가 필요한 상황이다.

 

2. 새로운 것을 시도하자

  - 오늘 하루 일상적인 삶에서 벗어나 정신적으로, 감정적으로, 육체적으로 자신을 깨울 수 있는 다른 것을 해 보자. 도전은 우리를 더 좋게 바꾸어 놓는다. 성장하기를 원한다면 도전을 생활의 일부로 삼자.

 

3. 자신의 강점을 파악하자

  - 자신의 전문 분야나 리더십에 관한 책을 일 년에 6~12권은 읽자. 이미 전문가가 된 분야라도 계속해서 배우자. 빛이 바래고 가르칠 수 없는 고집불통이 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