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생공부/늘봄교육

[늘봄학교 프로그램 운영 - ②늘봄(방과후)프로그램]

by 골든 아워 2024. 10. 14.

2. 늘봄(방과 후) 프로그램

가. 운영 내용(늘봄학교 맞춤형 프로그램)

   1) 목적 

      - 정규 교육과정을 보완하고 미래 신수요에 대응하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미래역량을 갖춘 창의융합인재 육성

      - 학생.학부모 수요를 반영한 소규모. 수준별 강좌를 개설하여 맞춤형 학생성장 지원 및 과열된 사교육 수요 해소

 

   2) 방침

      - 대학, 기업, 지자체 등 다양한 프로그램 우수공급처를 지속 확대하고 온라인 프로그램 공급플랫폼을 활용하여 프로그램 공급처 개방화

      - 학생. 학부모 수요가 높은 체육, 문화. 예술, 사회. 정서, 창의. 과학, 기후. 환경 분야의 다양한 맞춤형 프로그램 무상 제공

      - 미래사회 신수요 대응 및 학생 성장 맞춤형 지원 프로그램 편성.운영

      - 맞춤형 프로그램 사전 안내 및 대상자 선정(2월)

   3) 대상

      - 1~6학년 중 희망 학생

       : (1학년) 학교생활 적응, 신체놀이. 조작활동, 특기적성 프로그램 등 놀이 중심의 재밌고 다양한 프로그램 제공

       : (2~6학년) 학생의 희망 및 미래신수요(체육, 문화. 예술, 사회. 정서, 창의. 과학, 기후. 환경 등 5개 영역)에 대응하는 지역. 민간연계. 협력모델을 적용한 다양한 양질의 프로그램 제공

   4) 기간

      - 방과 후(주중 및 토요일, 휴업일) 및 방학 중

      - 초과 수요에 탄력 대응을 위하여 운영 시간을 다양화하여 운영 가능

        예) 방학 중 SW.AI교육 캠프 운영, 토요축구교실 운영 등

   5) 장소

      - 늘봄프로그램교실, 학교 내 유휴교실 등 프로그램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

   6) 규모

      - 수요조사 결과에 따라 다양한 운영

      - 학급 단위로 운영할 경우 1 학급 당 20명 내외 또는 단위학교 학급당 학생 수로 확대 가능

   7) 내용

     가) 늘봄학교 맞춤형 프로그램 분야 

 

      나) 체육. 문화. 예술 프로그램

        - 초등 수준에 적합한 놀이. 게임형 체육활동 프로그램 확대

        - 학생이 문화. 예술 활동의 과정에 참여하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

         : 학생이 문화.예술 활동의 전 과정(기획, 표현, 발표)에 참여하는 학생주도 프로젝트형 프로그램 발굴. 운영

       다) AI. 디지털 프로그램

         - 학생의 디지털역량 함양을 위한 민관협력 '디지털 새싹' 프로그램 확대

         - 미래사회 대비 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교육 신수요 프로그램 확대

      라) 진로체험 프로그램

        - 지역사회 진리체험기관 활용하여 늘봄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진로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마) 기초학력 프로그램

        - 정규수업 외에 이루어지는 '기초학력 증진 프로그램'을 늘봄학교와 연계. 통합 운영

     

     8) 인력 운영

        - 외부강사(개인, 위탁)로 구성함이 원칙, 희망 교직원에 한해 강사로 참여 가능

        - 강사 지도수당은 시간당(1시간 60분 기준, 수업시간 40분+준비. 정리시간 20분)으로 책정

 

나. 늘봄지원센터 업무(늘봄학교 맞춤형 프로그램)

    1) 업무지원 흐름도

    2) 업무지원 내용

     가) 민.관 참여형 협력체계 구축을 통한 양질의 늘봄학교 프로그램 지원

★체육, 문화·예술, 사회·정서 창의·과학, 기후·환경 분야의 프로그램 335종 개발․보급
★한국과학창의재단(늘봄학교: https://afterschool.kofac.re.kr)(대표: https://www.kofac.re.kr)
- 늘봄학교 홈페이지 통해, 늘봄학교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및 상시 신청·접수 지원
※ 2024년 하반기, 온라인 플랫폼 ‘늘봄허브’ 오픈 예정
- 기업, 대학, 공공기관 등 민·관 협력 주체들이 보유한 교육 프로그램 정보 제공 및 매칭 지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https://www.arte.or.kr)
- 학교예술강사지원: 학교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방문교육 적극 지원
- 예술꽃 씨앗학교 지원: 농·산·어촌 등 문화소외지역의 소규모학교 지원을 통한 문화예술향유 기회 확대 지원
- 주제중심 학교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예술로 탐구생활’: 학교 현장과 학생 수요에 기반을 둔 주제중심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
★대한체육회(https://www.sports.or.kr)
- 신나는 주말체육학교: 시·군·구별 학교밖 프로그램 안내, 학교 안 프로그램 신청 안내

 

   나) 지역사회 자원(강사, 공간, 프로그램, 교육 기부) 연계 지원

 

  3) 학교지원자료 개발.보급 및 맞춤형 컨설팅 지원

  4) 늘봄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활용한 늘봄(방과 후) 프로그램 업무 지원

 

 

- 출처: 2024년 늘봄학교 운영 가이드라인. 교육부

 

 

728x90

댓글